UI설계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UI 설계를 구체화하여 작성하는 문서입니다. 상세 설계 전에 대표적인 화면들을 설계합니다.
- UI 설계서는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작성한다.ㅏ
- UI 설계서는 UI 설계서 표지, UI 설계서 개정 이력, UI 요구사항 정의서, 시스템 구조, 사이트 맵, 프로세스 정의서, 화면 설계 순으로 작성한다.
UI 설계서 표지 작성 시 UI 설계서의 표지는 다른 문서와 혼동되지 않도록 프로젝트명 또는 시스템명을 포함시켜 작성해야 한다.
UI 설계서 개정 이력 작성하는법을 알아봅시다.
UI 설계서 개정 이력은 UI 설계서가 수정될 때마다 어떤 부분이 어떻게 수정되었는지 정리해 놓은 문서입니다.
- 처음 작성 시 첫 번째 항목을 '초안 작성', 버전(Version)을 1.0으로 설정한다.
- UI 설계서에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변경 내용을 적고 버전을 0.1씩 높인다.
ex) UI 설계서 : 개정 이력
NO | 내용 | Version | 수정일 | 작성자 |
1 | 초안 작성 | V1.0 | 2019-10-05 | 김유나 |
2 | 보완 | V1.1 | 2019-10-08 | 김성호 |
3 | 2019-10-08 회의 내용반영 | V1.2 | 2019-10-18 | 김성호 |
4 | 2019-10-18 회의 내용반영 | V1.3 | 2019-10-19 | 김유나 |
5 | 2019-10-19 회의 내용반영 | V1.4 | 2019-10-20 | 김성호 |
6 | 2019-10-20 회의 내용반영 | V1.5 | 2019-10-31 | 김유나 |
UI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UI 요구사항 정의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정리한 문서로, 사용자 요구사항의 UI 적용 여부를 요구사항별로 표시한다.
UI의 유용성 평가
- 유용성(Usability)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목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척도로, UI의 주된 목적은 유용성이 뛰어난 UI를 제작하는 것이다.
- 유용성 평가는 사용자 측면에서 복작한 시스템을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조사 과정이다.
- 유용한 UI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UI의 구조, 기능, 가치 등에 대해 사용자가 생각하는 사용자 모형과 시스템 설계자가 만들려고 하는 개발자 모형 간의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 사용자 모형과 개발자 모형 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
- 실행차 :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과 실행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 평가차 :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과 실행 결과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실행 차를 줄이기 위한 UI 설계 원리 검토
1. 사용 의도 파악
사용자의 목적을 명확히 파악한 후 불필요한 기능이나 중복되는 기능이 있는지 확인한다.
2. 행위 순서 규정
-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행위 순서를 세분화시켜 순서대로 제시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행위 순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는 최소화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사용자의 기존 경험에 비추어 가능한 한 친숙하도록 설계한다.
3. 행위의 순서대로 실행
- 프로세스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행위 순서대로 실행할 때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과도한 상호 작용은 피한다.
- 사용자가 의도한 행위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피드백, 취소 기능, 디폴트 값 등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평가 차를 줄이기 위한 UI 설계 원리 검토
1. 수행한 키 조작의 결과를 사용자가 빠르게 지각하도록 유도
사용자가 수행한 행위에 대해 최대한 빨리 반응하도록 설계하고, 사용자가 수행한 행위로 인해 현재 시스템의 변호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피드백해야 한다.
2. 키조작으로 변화된 시스템의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도록 유도한다.
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가능한 한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게 제시해야 한다.
3. 사용자가 가진 원래 의도와 시스템 결과 간의 유사 정도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하도록 유도
사용자의 의도가 시스템을 통해 충족되었는지, 충족될 수 있는지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정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CI/UX/감성공학이란 (0) | 2020.05.11 |
---|---|
UI 상세 설계란 (0) | 2020.05.10 |
UI 프로토타입 제작 및 검토 (0) | 2020.05.07 |
품질 요구사항 (0) | 2020.05.06 |
UI 설계 도구의 종류 (0) | 2020.05.06 |